지난달 무역수지가 16개월 만에 가까스로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자동차가 역대 최고 수준의 수출 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글로벌 경기 침체로 부진하던 반도체 수출 실적이 올 들어 가장 양호한 수준으로 개선됐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무역수지가 무엇인가요????
1. 경상수지가 무엇인가요??
국가 또는 기업이 외국과의 무역에서 물건 혹은 서비스를 매입매출하는 결과를 뜻하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수입과 지출의 차액을 의미하는 것이죠. 이는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및 노동 등 생산 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출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경상수지는 4가지 구성 요소로 되어있어요.
1) 상품수지
국가 간의 거래에서 각종 상품(물건)을 매입매출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입과 지출의 차이
2) 서비스 수지
운수, 관광, 통신, 특허권 등의 8개의 사업 분야가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항만, 관광 산업 및 경영 컨설팅, 영화산업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
3) 본원 소득 수지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서 지급받은 수입(급료 및 임금)과 외국인이 국내에서 받은 급료 및 임금, 투자소득의 차액
4) 이전 소득 수지
거주자와 비거주 간에 대가 없이 주고받은 금전 거래의 차이. 예를 들어 해외 거주하는 교포가 국내 친척에게 개인 송금을 한다거나 국외로 지원하는 기부금 등이 이에 속합니다.
2. 무역수지가 무엇인가요??
경상수지의 상품수지와 같이 두 통계 모두 상품의 수출과 수입의 차액을 의미합니다. 서로 쌍둥이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하지만~!!!
1) 상품수지 : 국제수지 기준 수출과 수입의 차액 <한국은행에서 집계>
2) 무역수지 : 통관기준 수출과 수입의 차액 <관세청에서 집계>
미묘한 차이가 있죠?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3. 상품수지와 무역수지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려줘!
무역수지는 수출과 수입 가격을 계산할 때 각각 다른 교역 조건을 기준으로 두고 계산합니다.
수출 – FOB 조건(본선인도가격, Free On Board)을 적용 ⇒ 운임과 보험료를 뺀 물건의 가격으로 계산
수입 – CIF 조건(운임·보험료 포함 가격, Cost, Insurance and Freight)을 적용 ⇒ 상품 가격+운임+보험료를 포함한 전체 가격으로 계산
이에 비해 상품수지는 수출과 수입 모두 FOB 조건을 적용해 운임과 보험료를 뺀 순수 물건의 가격으로만 계산을 합니다.
때문에 같은 상품이라고 해도 무역수지 방식으로 계산할 때 더 비싸게 나오게 됩니다.
집계 시점에 따른 차이
무역 수지 – 세관의 검사를 거쳐 수출/수입이 허가되면 수출입 집계에 포함
상품 수지 – 상품의 소유권 이전 기준으로 통관을 거친 다음 수입자에게 상품이 전달될 때 수출입 통계에 포함됩니다.
보통 일반적인 상품의 경우 통관과 함께 인도되기 때문에 무역수지와 상품수지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선박처럼 통관 이후 주문자에게 인도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상품일 경우에는 무역수지에는 수출입액이 집계되지만 상품수지에는 집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결론요약
"경상 > 무역"의 개념으로 보실지도 모르겠지만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집계하느냐에 따라서 관점이 달라집니다^^
두 개념다 중요한개념이에요!
'경제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준비 우리 같이 해볼까요? 2편 (1) | 2023.11.02 |
---|---|
노후준비 우리 같이 해볼까요? 1편 (1) | 2023.11.02 |
경제 용어 모음 (기초 입문 상식 쉽게풀이) (6) | 2023.06.26 |
파월 미국 하원 청문회 출석! 추가 금리인상? 파월은 누구죠? (4) | 2023.06.22 |
엔 환율 8년만에 최저?? 2015년 이후 800원대로 진입 (16)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