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람되고 유익한 하루 보내세요^v^

당신의 오늘 하루는 행복했나요?

유머, 이슈, 정보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명단 및 짧은정리

행복 주머니 2023. 11. 4. 08:17
반응형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의 원수. 행정권의 실질적인 수반(首班)인 경우와 형식적인 권한만을 가지는 경우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전자에 속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민의 직접 선거에 의해 선출하는데, 임기는 5년이며 중임은 허용되지 않고있죠. 같이 역사를 한번 훑어볼까요?

역대대통령
역대대통령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명단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1. 제1공화국 및 제2공화국

2. 제3공화국 및 제4,5공화국

3. 제6공화국

위의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자동 이동 합니다.

 

1. 제1공화국 및 제2공화국

이승만
이승만

-제 1 공화국-

 

1) 이승만 (제1,2,3대) (1948년 7월 24일 취임 ~ 1960년 4월 27일 궐위)

1948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2선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자유당을 창당하고 계엄령을 선포, 반대파 국회의원을 감금하는 등 변칙적 방법을 동원하여 헌법을 대통령 직선제로 개정하고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발췌 개헌, 사사오입 개헌 등을 거치며 총 3선을 한 후 3.15 부정선거로 인한 4.19 혁명으로 사퇴했다.
 4.19 1달 후 미국으로 망명, 5년 후 하와이에서 세상을 떠났다.

 

 

-제 2 공화국-

윤보선
윤보선

2) 윤보선 (제4대) (1960년 8월 13일 취임 ~ 1962년 3월 24일 궐위)

1960년 4.19 혁명으로 자유당정권이 붕괴된 뒤 제2공화국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박정희에 의한 5.16 군사정변이 발생한 후 1962년 3월 24일 사퇴했다.

 

2. 제3공화국 및 제4,5공화국

 

-제 3 공화국-

박정희
박정희

3) 박정희 (제5,6,7,8,9대) (1963년 12월 17일 취임 ~ 1979년 10월 26일 궐위)

1961년 5.16 군사정변을 주도, 윤보선의 사퇴가 있었던 1963년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67년 재선한 후 장기집권을 위하여 3선 개헌안을 통과시켜 반발을 샀고, 1972년 10월 17일 10월 유신을 단행시킨 후 정권을 유지하다가 그로부터 7년 후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저격으로 암살당했다. (제8대 9대 대통령임기는 제4공화국 시절이다.)

 

 

-제 4 공화국-,  -제 5 공화국-

 

최규하
최규하

4) 최규하 (제10대) (1979년 12월 6일 취임 ~ 1980년 8월 16일 궐위)

1979년 10.26 사건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낸 후 같은 해 12월 21일 제10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80년 5월 비상계엄하에 설치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며, 신군부의 실세이자 당시 국군보안사령관 소장이였던 전두환의 압박에 의해 그해 8월 16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전두환
전두환

5) 전두환 (제11,12대) (1980년 8월 27일 취임 ~ 1988년 2월 24일 퇴임)

군인 출신으로, 하나회를 통해 신군부가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후 1981년 1월 15일 창당된 민주정의당의 총ㅇ재가 되어 2월 개정된 새로운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민주정 회복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전국적 시위의 압박을 받아 독재를 마무리하고 퇴임했다. (제12대 대통령임기는 제5공화국 시절이다.)

 

3. 제6공화국

 

-제 6 공화국-

노태우
노태우

6) 노태우 (제13대) (1988년 2월 25일 취임 ~ 1993년 2월 24일 퇴임)

1979년, 10.26 사태 이후 신군부의 실세이자 대한민국 11, 12대 대통령을 역임한 전두환과 함께 12.12 군사반란에 참가했고 신군부세력의 정권획득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 협조하며 입지를 굳힌 후 1987년 6월, 민주정의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어 1987년 12월 16일에 이루어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며 제13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1988년 2월 25일, 제13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김영삼
김영삼

7) 김영삼 (제14대) (1993년 2월 25일 취임 ~ 1998년 2월 24일 퇴임)

1954년 3대 민의원 의원에 당선된 이후 9선 의원 기록을 세운 후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을 창당, 대표최고위원의 자리에 올라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 민주당의 김대중을 누르고 당선됐다. 1993년 2월 25일, 제14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김대중
김대중

8) 김대중 (제15대) (1998년 2월 25일 취임 ~ 2003년 2월 24일 퇴임)

1960년 민의원에 당선된 후 1971년 신민당 대통령 후보로 민주공화당의 박정희와 겨루었으나 패배했다. 이후 해외에서 박정희의 군사정권에 항거하다 국내로 납치되어 가택연금, 투옥 등을 겪었다.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와 자유민주연합 김종필 후보와의 단일화에 따른 대통령 후보로 출마, 감사원장와 국무총리을 역임한 한나라당의 이회창을 꺾고 제15대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이는 전체적으로는 윤보선에 이어 2번째로 민주당(계 정당) 출신 대통령이며, 직선제로 뽑힌 첫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자 첫 전라도 출신 대통령이었다.

 

노무현
노무현

9) 노무현 (제16대) (2003년 2월 25일 취임 ~ 2008년 2월 24일 퇴임)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 동구 선거구에서 통일민주당 후보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한 뒤 국회 제5공화국 비리조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한다. 1998년 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으로 출마하여 당선했고 2년 후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종로에서 불출마을 선언하고 지역주의을 극복한다는 차원에서 새천년민주당의 취약지역 부산으로 내려가서 부산 북·강서을 국회의원 후보으로 출마했지만 지역주의의 거대한 벽을 넘지 못하고 결국 낙선되고 만다. 그의 낙선는 대한민국의 영호남 지역주의 타파와 노무현이란 인물을 부각 하면서 국민들에게 신뢰을 받으며 잠재적인 대권후보를 성장한다. 총선 낙선 이후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하며 성실하게 대선 출마을 준비했다. 해양수산부 장관 퇴임 이후 그는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선거에서 출마하여 선출했으며 2002년 12월 19일 새천년민주당 소속의 제16대 대통령 후보로 출마. 지난 15대 대선에서 출마하여 낙선했던 한나라당의 이회창을 꺾고 제16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뒤 2003년 2월 25일에 출범했다.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재임 중 탄핵 소추를 당해 대통령 권한이 정지되었으나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에서 이를 기각하여 2개월 뒤 대통령 직무에 복귀하여 2008년 2월 24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이명박
이명박

9) 이명박 (제17대) (2008년 2월 25일 취임 ~ 2013년 2월 24일 퇴임)

비교적 젊은 나이에 현대건설 사장직을 맡게 되었으나 이후 1992년 현대건설 사장직을 그만두고 민주자유당에 입당해 정계에 처음 입문하였다. 1996년 4월 15대 총선에서 대한민국 정치1번지 서울 종로구에서 당선되었지만 1998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으로 국회의원직에서 사퇴했다.
 그로부터 4년 후 2002년 6월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으며 2007년 8월 20일, 한나라당 제17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고 12월 19일, 48.67%의 득표율로 26.14%의 득표를 달성한 열린우리당 의장, 통일부장관을 역임한 대통합민주신당의 정동영을 역사상 최다 득표율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박근혜
박근혜

10) 박근혜 (제18대) (2013년 2월 25일 취임 ~ 2016년 12월 9일 사고)

1998년, 대구 달성군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를 통해 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 이후 제19대까지 5선 연임 국회의원을 지낸 후 2012년, 새누리당의 후보로 출마 당선 되었다. 역대 최다득표율인 51.55%의 득표를 받아 48.02%의 득표를 얻은 민주통합당의 문재인을 이기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016년 12월 9일 16:10, 최순실과 본인이 주도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알려진 뒤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그 결정 등본을 같은 날 19:03 청와대에서 접수하면서 대통령 권한이 정지 되었고, 2017년 3월 10일 11:21, 헌법재판소에서 재판관 전원일치로 탄핵소추안 인용 결정을 선고함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다.

 

문재인
문재인

11) 문재인 (제19대) (2017년 5월 10일 취임 ~ 2022년 5월 9일 퇴임)

2012년 4월 11일에 열린 19대 총선에서 부산 사상구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처음으로 국회에서 입성하고 그로부터 8개월 후 2012년 12월 19일에 열린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후보였던 제18대 대통령 박근혜에게 패배했다.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조기 대선을 맞아 두번째로 도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통틀어 가장 큰 표 차이를 얻으며 한나라당 대표와 경남도지사를 역임한 자유한국당의 홍준표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017년 5월 10일 오전 8시 9분부터 대통령으로서의 임기가 시작됐다.

반응형